원리부터 장단점, 해석 포인트까지 한눈에 정리
1. 서론
비파괴검사 중 가장 시각적으로 직관적이고,
용접 내부의 결함을 ‘촬영’처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 RT 검사(Radiographic Testing)다.
보통 X-ray 또는 감마선(γ-ray)을 사용하여 내부 기공, 슬래그, 크랙 등을 확인한다.
하지만 방사선이라는 특수성을 가지는 만큼, 검사 방법, 안전 기준, 해석법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2. 핵심 개념 설명 (Definition & Basics)
RT 검사란?
- Radiographic Testing: 방사선을 투과시켜 재료 내부의 상태를 촬영하는 방식
- 원리:
→ 밀도 차이에 따라 방사선이 통과하는 정도가 달라짐
→ 필름 또는 디지털 센서로 이를 감지
→ 결함 부위는 명암 차이로 나타남
사용 방사선 종류
종류 | 설명 |
X-ray | 인공 방사선, 정밀하고 조절 가능, 보통 얇은 판재에 적합 |
감마선(γ-ray, Ir-192, Co-60) | 천연 방사선, 두꺼운 재료에 유리, 휴대성 뛰어남 |
3. 종류 및 비교 (Types & Comparison)
항목 | X-ray | 감마선 |
방사선 원 | 전기장치 필요 | 캡슐화된 동위원소 |
투과력 | 낮음 (얇은 재료 적합) | 높음 (두꺼운 배관, 용기 적합) |
해상도 | 높음 | 낮음 |
안전성 | 상대적으로 조절 쉬움 | 방사선 관리 철저히 필요 |
촬영 방식
- Single Wall Exposure (SWE): 한쪽에서 조사, 반대편에서 감지
- Double Wall Exposure (DWE): 감마선이 두 벽을 통과, 배관에 자주 사용
4. 실무 적용 (Practical Use Cases)
- 용접부 내부 결함 확인
→ 슬래그 끼임, 기공, 크랙 등 직접 시각화 가능 - 압력용기, 배관, 탱크 등 주요 용접 구조물 검사
- ASME, ISO, KS 기준에서 필수 적용
- 중요부 구조물에 대해 필름 보관 의무 있음
실제 검사 절차 (간단 요약)
- 대상 물체 선정 및 표면 청소
- 필름 또는 센서 설치
- 방사선 노출 → 노출량/시간 계산
- 현상 → 결과 판독
- 검사 보고서 작성
5. 헷갈리기 쉬운 포인트 정리 (FAQ 스타일)
질문 | 요약 정리 |
RT 검사는 어디에 쓰는 게 좋을까? | 내부 결함 확인이 중요한 구조물 (압력용기, 고압배관 등) |
UT 검사랑 뭐가 달라? | RT는 시각적 필름, UT는 반사파 해석 → RT가 직관적 |
안전관리 어떻게 해? | 방사선 차폐, 경고등, 거리유지 → 감마선은 특히 중요 |
감마선이 더 좋은가? | 두꺼운 재료엔 유리하지만 해상도는 낮음 |
6. 결론 (Summary & Tip)
- RT 검사는 시각적으로 결함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 안전성, 판독 숙련도가 요구되는 고급 방식이다. - 설계 도면에 "RT 100%"라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
이는 모든 용접부를 RT로 검사해야 한다는 뜻이며,
제작 시 검사 계획과 검사 보고서 관리까지 포함해야 한다.
비파괴검사 리포트 실무 가이드 – RT/UT 보고서 작성법 & 판독 사례
비파괴검사 보고서(RT/UT)의 구조, 작성법, 판독 기준, 실제 불합격 사례까지 실무 관점에서 정리했습니다. 검사 담당자와 기술 영업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입니다.1. 서론 – RT/UT는 끝이 아니라
nowday.tistory.com
비파괴검사(NDT) 종류별 비교 – RT, UT, PT, VT 쉽게 정리
비파괴검사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RT, UT, PT, VT의 원리, 장단점, 적용 사례를 실무자 관점에서 비교합니다.1. 서론 – 용접만 잘해도 검사에서 불합격 나오는 이유“외관은 멀쩡한데 RT에
nowday.tistory.com
용접 결함 사례 모음 – 사진으로 보는 실수와 해결법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용접 결함 사례를 정리했습니다. 기공, 슬래그, 용입 부족, 크랙 등 각 결함의 원인과 해결책을 이미지와 함께 설명합니다.1. 서론: 결함 없는 용접은 없지만, 반복되는
nowday.tistory.com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 용접 실수 Top5 – 신입이 자주 저지르는 문제와 실전 팁 (0) | 2025.04.08 |
---|---|
플랜트 도면 기호 30선 – P&ID 기호 심화 해설 (0) | 2025.04.08 |
P&ID 보는 법 완전 정리 – 실무자가 자주 실수하는 해석 포인트 5가지 (0) | 2025.04.07 |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0) | 2025.04.06 |
설비 유지보수 전략 완전 정리 – 예방정비 vs 사후정비, 뭐가 더 효과적일까?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