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D 도면 해석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 5가지를 정리하고, 실제 현장에서 도면을 읽는 방법과 해석 순서를 실무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1. 서론 – 심볼만 아는 건 ‘읽는 것’이 아니다
“심볼은 외웠는데… 도면을 보니 하나도 모르겠어요.”
“어디서부터 읽어야 하죠?”
P&ID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 운전 방식, 계장 제어가 모두 담긴 기술 문서이자 언어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실무에서 P&ID를 해석할 때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5가지와
올바른 해석 순서, 체크포인트를 정리한다.
2. 실무자들이 자주 실수하는 해석 포인트 5가지
① 흐름 방향을 제대로 못 잡는다
- 배관은 왼쪽 → 오른쪽, 위 → 아래 방향으로 흐름이 표시되지만,
분기/환류/루프 구성일 경우 헷갈리기 쉬움 - 유체 흐름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
→ 이걸 놓치면 계장 신호 흐름도 반대로 해석하는 경우 발생
② 밸브 상태(열림/닫힘)을 실수함
- Normally Open (N.O) / Normally Closed (N.C)
→ 기본 상태가 무엇인지 확인하지 않으면 운전 조건 해석 오류 발생 - 특히 인터록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신호 조건과 연동되어 해석해야 함
③ 계장 루프번호 해석을 건너뜀
- P&ID에 표시된 계장 루프번호는 제어 계통과 연결된 가장 중요한 정보
- 예: PI-101, FV-302 → 각각 압력계 루프 101번, 제어밸브 루프 302번 → 루프도/계장도와 연결 지점
④ 계기의 기능을 헷갈림
- PI, TI, FI, PT, TT, FT, FC, FV, TIC...
→ 측정(M), 지시(I), 제어(C), 밸브(V) 등 조합
→ 초보자들은 PI(압력지시계)와 PT(압력전송기)를 혼동하기 쉬움
⑤ Tag 넘버를 실제 장비와 연결 못함
- 도면상 장비 P-101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실설비와 매칭 못함
→ 현장 설비에 붙은 name plate와 도면 Tag 매칭은 필수
→ 이걸 못하면 현장 작업 시 “이 장비가 뭐였더라?” 반복 발생
3. P&ID 해석 절차 – 실전 4단계
단계 | 체크할 것 |
1단계 | 흐름 방향부터 전체 파악 (입·출구 기준) |
2단계 | 주요 장비 위치와 명칭 확인 (Tag 기준) |
3단계 | 배관 구성 & 밸브 위치 확인 |
4단계 | 계장기기 및 루프번호 해석 |
4. 실전 예시 – 정제탑 & 펌프 루프 해석
예: P-101 → 원료 이송 펌프
→ 흡입측 밸브 N.O / 토출측 FV-101 (자동제어밸브)
→ FV-101은 FI-101 유량계 루프와 연동
→ 정제탑 하부에는 LI-201 (레벨 지시계), 고수위 인터록 XSH-201 존재
→ 운전 시에는 XSH-201에 따라 자동밸브가 닫힘
이런 흐름을 따라가면, 도면이 설비 운전 절차서처럼 보이기 시작한다.
5. 결론 – P&ID는 심볼이 아니라 ‘의사소통’이다
- 단순히 “기호를 읽는 것”이 아니라
→ “설비가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읽는 것이 P&ID 해석이다. - 계장, 배관, 운전, 제어의 협업이 모이는 도면이므로,
자신의 역할에서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뽑아낼지가 중요하다.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플랜트 설비 도면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P&ID, PEFS, GA, ISO 도면의 정의와 실무 적용 사례를 통해 설계와 시공 흐름을 이해하세요.1. 서론 – 설계 도면이라고 다 같은 도면이 아니다“이
nowday.tistory.com
산업용 압력용기의 종류와 설계 기준 – ASME vs KS 완전 정리
산업용 압력용기의 정의, 종류, ASME와 KS 기준의 차이, 외주 제작 시 체크포인트까지 정리했습니다. 반도체, 플랜트 설비 담당자를 위한 가이드입니다.1. 압력용기, 왜 제대로 알아야 할까?“외주
nowday.tistory.com
플랜트 도면 기호 20선 – P&ID 심화 해설
한 장으로 보는 산업 배관 도면 기호 총정리, P&ID 도면 해석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가장 먼저 익혀야 할 것은 바로 기호(Symbol)입니다.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20가지 핵심 기호를 모아 한눈에 보기
nowday.tistory.com
배관 규격과 스케줄(Schedule)의 모든 것 – 플랜트 배관 설계 기초 가이드
1. 배관 규격(Pipe Size)이란?배관 규격은 공칭 직경(NPS: Nominal Pipe Size) 또는 **DN(Diameter Nominal)**으로 표기됩니다.이 값은 실제 외경과는 다르며, 배관 두께(Schedule)에 따라 내경이 달라집니다. NPS (inch)
nowday.tistory.com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랜트 도면 기호 30선 – P&ID 기호 심화 해설 (0) | 2025.04.08 |
---|---|
RT 검사 완전 정리 – 방사선투과검사 원리, X-ray vs 감마선 차이, 결과 해석까지 (0) | 2025.04.08 |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0) | 2025.04.06 |
설비 유지보수 전략 완전 정리 – 예방정비 vs 사후정비, 뭐가 더 효과적일까? (0) | 2025.04.06 |
산업 설비 누설 테스트 총정리 – 기밀시험, 수압시험, 기압시험 차이점과 절차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