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기술 자료50

플랜트 도면 종류 완전 정리 – P&ID, PEFS, GA, ISO 도면의 차이와 용도 플랜트 설비 도면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P&ID, PEFS, GA, ISO 도면의 정의와 실무 적용 사례를 통해 설계와 시공 흐름을 이해하세요.1. 서론 – 설계 도면이라고 다 같은 도면이 아니다“이거 GA 도면인가요, P&ID인가요?”“도면은 있는데 시공을 못하겠어요.”플랜트 설계 도면에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 정보, 해상도, 관점이 존재한다.특히 설비 배관과 관련된 도면은 설계→승인→제작→시공→운전 단계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이번 글에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P&ID, PEFS, GA, ISO 도면의 역할과 차이를 정리한다.2. 도면의 기본 분류 도면명 전체 명칭 목적 P&ID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배관 흐름 + 계장 제어PEFSProces.. 2025. 4. 6.
설비 유지보수 전략 완전 정리 – 예방정비 vs 사후정비, 뭐가 더 효과적일까? 예방정비(PM), 사후정비(BM), 예측정비(PdM)의 개념과 차이, 장단점, 산업별 적용 전략까지 설비 유지보수의 핵심을 정리합니다.1. 서론 – 고장이 나야 고치는 게 정답일까?“장비는 돌아가고 있는데 굳이 뜯어봐야 하나요?”“미리 정비하려다 오히려 문제 생긴 적 있어요.”설비 유지보수 전략은 단순히 ‘점검할까 말까’의 문제가 아니다.장기적인 비용, 품질, 납기, 고객 클레임을 좌우하는생산 현장의 핵심 전략이다.이번 글에서는 설비 유지보수의 대표 전략인예방정비(PM), 사후정비(BM), 예측정비(PdM)그리고 최근 주목받는 TPM(총체적 생산 보전) 개념까지 함께 정리한다.2. 유지보수 전략의 3가지 유형 구분 방식 핵심 목적 장점 단점 사후정비 (BM)고장 발생 후 수리고장난 후 빠르게 복구단.. 2025. 4. 6.
산업 설비 누설 테스트 총정리 – 기밀시험, 수압시험, 기압시험 차이점과 절차 산업용 설비에서 수행하는 기밀시험, 수압시험, 기압시험의 차이와 시험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배관, 압력용기, 플랜트 설비 시공 이후 필수 시험입니다.1. 설비는 설치로 끝나지 않는다배관도, 압력용기도, 스키드도, 클린룸 설비도...설치만으로 끝나지 않는다.설비의 안전성과 누설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시험 절차가 필요하다.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언급되는 말:“이거 수압 시험 했어요?”“기밀시험 통과 안 되면 납품 안 됩니다.”이번 포스트에선 기밀시험, 수압시험, 기압시험의 차이점과 절차, 기준을 명확하게 정리한다.2. 각 설비 시험들의 방법과 목적 용어 뜻 핵심 포인트 수압시험물을 사용하여 내부 압력을 가하는 시험강도 확인 목적기압시험공기/질소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시험강도 확인 목적기밀시험기체.. 2025. 4. 6.
산업용 도장 종류와 비교 – 아연, 에폭시, PTFE 총정리 아연도금, 에폭시 코팅, PTFE 코팅 등 산업용 도장 종류를 비교 정리했습니다. 각 방식의 특성, 내화학성, 적용 설비를 쉽게 설명합니다.1. 서론 – 도장은 단순 색칠이 아니다“녹슬지 않게 도장해 주세요.”“내약품성은 어떤 걸 써야 하나요?”산업 현장에서 ‘도장’은 단순한 마감이 아니다.내식성, 내화학성, 전기 절연성, 시인성 등설비의 기능과 수명, 안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공정이다.2. 산업용 도장의 주요 종류① 아연 도금 (Zinc Coating)종류: 용융아연도금 (HDG), 냉간아연도금 (Cold Galvanizing)특징: 철강과 전기화학적으로 결합 → 희생방식으로 녹 방지내식성: 외부 대기 조건에서 우수 (옥외 설비 적합)적용: 철제 구조물, 배관 지지대, 야외 스키드 프레임.. 2025. 4. 6.
비파괴검사 리포트 실무 가이드 – RT/UT 보고서 작성법 & 판독 사례 비파괴검사 보고서(RT/UT)의 구조, 작성법, 판독 기준, 실제 불합격 사례까지 실무 관점에서 정리했습니다. 검사 담당자와 기술 영업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입니다.1. 서론 – RT/UT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검사 통과는 했는데, 고객이 다시 물어요.”“결함이 나왔는데도 OK 처리해도 되나요?”비파괴검사는 단순히 **‘검사했다’가 아니라 ‘기록하고 판단하는 과정’**까지 포함돼야진짜 품질관리로 이어진다.이번 글에서는 RT(방사선), UT(초음파) 중심의 검사 리포트 양식, 필수 항목, 실무 작성법, 실제 불합격 사례까지 정리한다.2. 비파괴검사 보고서 기본 구조공통 양식 항목 (RT/UT 공통) 항목 내용 검사 일시작업 날짜, 검사자 이름대상설비명, 부위명, 용접부 번호 등검사 방식RT (감마선/X.. 2025. 4. 6.
비파괴검사(NDT) 종류별 비교 – RT, UT, PT, VT 쉽게 정리 비파괴검사의 종류와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RT, UT, PT, VT의 원리, 장단점, 적용 사례를 실무자 관점에서 비교합니다.1. 서론 – 용접만 잘해도 검사에서 불합격 나오는 이유“외관은 멀쩡한데 RT에서 불합격입니다.”“비파괴검사 종류가 너무 많아요. 뭐가 다른 거죠?”**비파괴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는부품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 결함을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특히 용접부, 압력용기, 배관 등에서 구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수 절차로 자리잡았습니다.2. 비파괴검사의 4대 주요 기법 구분 검사명 원리 적용 대상 주요 장점 주요 한계 VT육안검사 (Visual Testing)작업자 시각으로 외관 관찰모든 용접, 도장 외관간편, 비용 저렴내부 결함 탐지 불가.. 2025.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