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기술 자료

스테인리스 vs 탄소강 용접 – 재질별 특징과 주의사항

by NOWDAY 2025. 4. 5.
스테인리스와 탄소강 용접의 차이점, 주의사항, 용접 조건, 후처리 방식까지 정리했습니다. 실무자를 위한 재질별 용접 가이드입니다.

1. 서론: 금속이 다르면, 용접도 달라야 한다

현장에서 자주 나오는 상황:

“탄소강은 잘 붙었는데, 스테인리스는 용접하다가 균열 났어요.”
“스테인리스도 아크로 그냥 붙이면 되는 거 아니에요?”

이 두 재료는 겉보기에는 비슷해도,
열팽창, 탄소 민감성, 산화 반응, 냉각 속도 등 용접에 영향을 주는 물성 차이가 매우 크다.

이 글에서는 탄소강과 스테인리스의 기초 물성 차이 → 용접 시 주의점 → 실무 대응법까지 실제 적용 위주로 설명하겠다.


2. 핵심 개념 설명: 스테인리스강 vs 탄소강 기본 특성 비교

항목 스테인리스강 (Stainless Steel) 탄소강 (Carbon Steel)
주요 성분 Fe + Cr(>10.5%) + Ni 등 Fe + C(0.2~0.6%)
내식성 매우 우수 낮음 (녹슬기 쉬움)
열전도율 낮음 높음
열팽창계수 작음
가격 상대적으로 고가 저가
용접 난이도 높음 낮음

핵심 요약:
스테인리스는 열전도 낮고 팽창 크며, 고온에서 탄소 민감성이 커져 용접 조건이 더 정밀해야 한다.


3. 종류 및 비교: 용접 방식과 결함 유형 비교

Side-by-side comparison of stainless steel and carbon steel welding characteristics, issues, and methods
Stainless steel and carbon steel welding differences including heat sensitivity, gas type, post-weld treatment, and defects

항목 스테인리스 용접 탄소강 용접
주 용접법 TIG / GTAW / MIG SMAW / MIG / FCAW
주요 결함 크레이터 크랙, 입계부식, 크롬 손실 기공, 슬래그 끼임, 용입 부족
보호가스 고순도 Ar / 혼합가스 CO₂ 또는 Ar+CO₂
후처리 필요성 고온 산세, 세정 필수 보통 불필요 (녹제거만)
비드 색상 은색~푸른색 (산화피막 생김) 어두운 회색 또는 흑색

결함 사례 요약

  • 스테인리스 용접 시 주의사항
    • 과열 금지: 크롬 산화 → 내식성 저하
    • 냉각 속도 조절: 급냉 시 균열 유발 가능
    • 후처리 필수: 산세, 피클링으로 산화막 제거
  • 탄소강 용접 시 주의사항
    • 기공 방지: 수분, 유분 제거 철저히
    • 과다 용입 방지: 전류 과다 시 모재 손상

4. 실무 적용: 각 재질에 맞는 용접 세팅과 현장 대응

스테인리스 용접 설정 팁

  • 전류 조절: 낮은 전류 → 과열 방지
  • 인터패스 온도: 150℃ 이하 유지
  • 백가스 사용: 내부 산화 방지
  • 후처리 필수: 고온 산세 + 수세 필요
  • 용접봉: 재질에 따라 308, 316L 등 선택

탄소강 용접 설정 팁

  • 고전류 허용: 작업 속도 빠름
  • 슬래그 제거 필수: 다층 용접 시 청소 중요
  • 프리히팅: 두꺼운 부재에서 사용 가능
  • 저가형 용접봉 다수 사용 가능

5. FAQ – 현장에서 자주 나오는 재질별 용접 질문

Q. 스테인리스는 왜 산세를 꼭 해야 하나요?
→ 용접 시 산화막(크롬 손실층)이 형성되며, 이 부분이 부식에 매우 취약해지기 때문.

Q. 탄소강은 그냥 바로 용접해도 되나요?
→ 가능하지만, 녹·수분·유분 제거는 필수. 기공의 가장 큰 원인이다.

Q. 스테인리스에 SMAW(아크) 써도 되나요?
→ 가능은 하지만 비드 품질과 산화가 문제가 될 수 있음. TIGMIG가 더 적합하다.


6. 결론 – “재질을 알면, 용접이 보인다”

용접은 단순 기술이 아니라
재료의 본성과 물성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된다.

스테인리스는 예민하지만 고급,
탄소강은 편하지만 결함에 주의해야 한다.

이 둘을 정확히 구분하고 용접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어야
진짜 실무형 용접 마스터다.

 

플랜트 배관 용접이란? 이음 종류, 설계 도면 보는 법까지

플랜트 배관 용접의 기본 원리와 이음 방식, 도면 해석법까지 정리했습니다. 산업 현장 실무자를 위한 핵심 가이드입니다. 1. 서론: 배관 용접은 ‘연결’이 아닌 ‘설계의 완성’이다플랜트 배

nowday.tistory.com

 

 

용접 결함과 검사 방법 – RT, UT, PT, VT 쉽게 이해하기

용접 결함의 주요 유형과 이를 판별하기 위한 비파괴검사(NDT) 방법인 RT, UT, PT, VT를 정리했습니다. 실무자에게 꼭 필요한 검사 기준 가이드입니다.1. 서론: 용접은 '붙이는 기술'이 아니라 '결함을

nowday.tistory.com

 

 

ASME 코드와 용접 문서 – WPS, PQR, WPQ 차이 정리

ASME 코드 기반의 용접 문서 WPS, PQR, WPQ의 차이와 실제 적용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품질보증과 감리 실무자 필독 가이드입니다.1. 서론: 이 세 글자들이 왜 이렇게 헷갈릴까?현장에서 자주 듣는 질

nowda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