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왜 '용접 종류'부터 제대로 알아야 할까?
신입이 들어와서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는 "TIG랑 MIG는 뭐가 달라요?"다.
용접은 단순히 쇳덩이를 붙이는 기술이 아니라, 재료, 공정, 품질, 안전까지 영향을 주는 정밀한 작업이다.
게다가 산업군에 따라 선호하는 용접 방식도 다르고, 장비·인력·비용까지 좌우하니까 실무에서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이 포스트에서는 단순 나열이 아닌, 실제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5대 용접 방식을 중심으로
원리, 장단점, 산업별 적용까지 정리해본다.
2. 핵심 개념 설명: 용접이란 무엇인가?
용접(Welding)이란 두 개 이상의 금속 재료를 열, 압력 또는 이 둘을 이용해 영구적으로 접합하는 공정이다.
주요 개념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 내용 |
목적 | 금속 재료를 녹여서 일체화 |
방식 | 융접, 압접, 납접 등으로 분류 |
열원 | 전기, 가스, 레이저, 마찰 등 |
사용 재료 |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니켈합금 등 |
적용 산업 | 플랜트, 조선, 항공, 반도체, 기계가공 등 |
3. 종류 및 비교: 대표적인 용접 방식 5가지
방식 | 특징 | 장점 | 단점 | 난이도 | 주로 쓰는 산업 |
TIG | 텅스텐 전극 + 아르곤 가스 | 고정밀, 청정도 우수 | 느림, 숙련 필요 | ★★★★☆ | 반도체, 제약, 정밀장비 |
MIG | 연속 와이어 + 혼합 보호가스 | 속도 빠름, 자동화 용이 | 스패터 발생 | ★★☆☆☆ | 자동차, 중공업 |
SMAW (아크) |
피복봉 사용, 전통 방식 | 장비 간단, 야외 적합 | 품질 편차 존재 | ★★★☆☆ | 배관, 구조물 |
FCAW | 플럭스 내장 와이어 | 고속, 두꺼운 재료 가능 | 연기 많고 장비 무거움 | ★★★★☆ | 조선, 강구조 |
Spot | 전류+압력으로 접합 | 빠르고 자동화 쉬움 | 얇은 판재만 가능 | ★☆☆☆☆ | 자동차 차체, 가전 |
4. 실무 적용: 산업군별 용접 방식 선택 기준
- 반도체/제약 배관:
고순도와 청정성이 핵심.
→ TIG 용접만 사용 (용접 후 내부 세정까지 고려됨) - 자동차/기계 생산:
대량생산 + 빠른 속도가 핵심.
→ MIG 용접 + 로봇 자동화 시스템 적용 - 건설/플랜트 현장:
강한 바람, 먼지 등 야외 조건에서의 작업이 필요.
→ SMAW(아크 용접) 또는 FCAW 방식 활용 - 조선/중장비:
구조물이 크고 두꺼운 강판을 사용.
→ FCAW 방식이 용접 속도와 침투성에서 유리
5. FAQ – 자주 헷갈리는 용접 개념
Q. MIG랑 CO2 용접은 다른 건가요?
→ 원리는 동일하지만 사용하는 가스가 다릅니다. CO2는 저렴하지만 스패터가 많고, MIG는 혼합가스로 품질이 더 좋습니다.
Q. TIG는 왜 느리고 비싼데도 고급 현장에서 쓰이나요?
→ 불순물 억제, 고정밀 용접이 가능한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제약라인처럼 청정 공정에 적합합니다.
Q. 용접기 가격은 많이 차이나나요?
→ TIG는 냉각 장치까지 포함돼 있어 고가이고, SMAW는 30만 원대 장비도 있어 입문자용으로 적합합니다.
6. 결론 – 실무자가 추천하는 용접 입문 루트
용접 공부는 이론 + 실습 + 실제 적용 분야까지 함께 파악해야 체계가 잡힌다.
이번 포스트에서 소개한 5가지 방식만 알아도 전체 산업군에서 사용하는 90% 용접 유형을 커버할 수 있다.
추천 흐름:
- SMAW (아크)로 기초 감각 익히기
- MIG로 자동화 이해
- TIG로 정밀 작업에 도전
TIG 용접이란? 원리, 장단점, 적용 분야 정리
1. 서론: 왜 'TIG 용접'은 특별할까?TIG는 현장에서도 종종 "고급 용접"이라 불린다.속도는 느리지만, 정밀도와 청정성에서는 대체 불가한 방식이다.반도체 라인, 제약 배관, 클린룸 설비, 고가 장비
nowday.tistory.com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결함과 검사 방법 – RT, UT, PT, VT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05 |
---|---|
TIG 용접이란? 원리, 장단점, 적용 분야 정리 (0) | 2025.04.05 |
산업용 가스, 어디서 오는가? : 반도체 공장의 보이지 않는 혈관 (0) | 2025.04.05 |
산업용 가스 라인의 기초 – 용기, 배관, 레귤레이터, 퍼지라인 정리 (0) | 2025.04.01 |
클린룸 시공 공정 순서 & 주요 자재 – 패널, 덕트, 필터, 플로어링까지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