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보안 솔루션 선두주자 '파수'의 기술력, 수익성, 글로벌 전략을 집중 분석합니다. DRM부터 클라우드 보안까지, 국내 유일의 보안 SW 전문 기업을 심층 해부!

기업 개요
파수(구 파수닷컴)는 2000년 설립 이후 세계 최초로 기업용 문서 DRM(디지털 권한 관리) 기술을 상용화한 정보보안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입니다. 현재는 코스닥 상장사(150900)로, DRM을 넘어 클라우드 보안, 문서중앙화, 데이터 거버넌스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법률 플랫폼 iManage, 중동 보안기업 CyberKnight 등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해외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및 제품



- Fasoo Enterprise DRM (FED): 사내 문서에 권한 제어를 적용, 무단 유출 방지
- Wrapsody: 비정형 문서의 중앙 관리 및 협업 지원
- Fasoo Smart Screen/Print: 화면 및 인쇄물 보안
- Fasoo Data Radar: 비정형 데이터 식별/분류 및 민감정보 보호
- DSPM 솔루션 (2024 출시): 클라우드 내 그림자 데이터 보호
최근에는 라이선스 판매 외에 SaaS 기반 구독형 서비스도 확대하며 반복 수익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산업 및 시장 환경
- 정보보안 시장은 연평균 10% 내외 성장 중
- 클라우드 전환, 제로 트러스트 보안, AI 시대의 데이터 보호 수요가 급증
- 국내 시장은 4조 원 규모, 정부 규제와 디지털 뉴딜 정책이 성장 견인
- 개인정보보호법, GDPR 등의 강화로 DLP·DRM 솔루션 필수화
재무 요약 (2020~2024)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매출(억원) | 294 | 368 | 358 | 328 | 357 |
영업이익 | 6 | 73 | 48 | 35 | 40 |
순이익 | -53 | 66 | 46 | 37 | 37 |
부채비율(%) | 139 | 69 | 56 | 31 | 35 |
ROE(%) | - | 30.2 | 14.7 | 11.1 | 10.9 |
→ 매출 안정성과 수익성 모두 확보, 최근 4년 연속 흑자 유지 중
→ 부채비율 30%대, 무차입 경영 수준으로 재무 구조 매우 안정
투자 포인트
- 기술 리더십: 세계 최초 DRM 상용화 기업, CAD/소스코드까지 DRM 적용 가능한 유일 솔루션
- 반복 수익 구조: 금융권·공공기관 중심의 안정적인 고객군 확보
- 글로벌 확장성: 미국, 중동 등에서 레퍼런스 확보 중
- 신기술 대응력: DSPM, AI 기반 보안 기능 등 트렌드 선도
- 주주친화 정책: 자사주 매입, 배당 재개 등 적극적 주주환원
투자 리스크
- 고객사 예산 축소 시 실적 변동성 존재
- 글로벌 경쟁사(Varonis, MS 등)와의 기술 격차 유지 필요
- 해외 사업 확대에 따른 마케팅/규제 리스크
- 핵심 개발 인력 확보 및 유지 부담
경쟁사 비교
기업 | 2023 매출 | 주요 제품 | 특이사항 |
파수 | 약 357억원 | DRM, DLP, 문서중앙화 | 국내 1위, 글로벌 진출 가속 |
소프트캠프 | 약 185억원 | DRM, 문서무해화(CDR) | 공공/국방 강점 |
마크애니 | 약 200억원(추정) | 워터마크, 전자문서보안 | 콘텐츠 보안 특화 |
→ 파수는 매출, 제품 다양성, 글로벌 확장력에서 가장 앞서 있음
결론
파수는 세계 최초로 DRM을 상용화한 기술력과 클라우드·AI 시대에 맞는 신제품 개발 역량을 갖춘 정보보안 대표기업입니다. 안정적인 고객 기반과 반복 수익 구조, 무차입에 가까운 재무 안정성까지 갖추고 있어, 중장기 성장성이 유효한 종목입니다.
특히, 글로벌 법률 시장·중동 시장 공략이 본격화될 경우 매출 레벨업이 가능하며, DSPM 등 신기술 대응이 성공한다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여지도 있습니다.
투자의견: 중장기 매수 관점 적합
리스크: 대형 프로젝트 의존도, 해외 진출 성과 여부 확인 필요
제이앤티씨(204270) 주가 전망 – 반도체 유리기판 진출, 실적 반등과 미래 성장성 분석
스마트폰 화면을 보호하는 강화유리에서 반도체 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꿈의 기판'까지. 제이앤티씨가 그리는 미래 청사진이 증권가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삼성전자와 화웨이 등 글로벌
nowday.tistory.com
오픈엣지테크놀로지(394280): AI 반도체 IP 시장의 글로벌 도전자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 반도체 IP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내 기업으로, 메모리 시스템 IP와 인공지능 프로세서(NPU) IP를 동시에 보유한 독특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
nowday.tistory.com
인텔리아 테라퓨틱스: 유전자 편집 혁명 CRISPR 기술 [NTLA]
유전자 편집 기술은 현대 의학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고 있습니다. 특히 CRISPR/Cas9 기술의 등장은 과거에는 치료가 불가능했던 수많은 유전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nowday.tistory.com
'NOWDAY ORIGINAL > 기업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스트스튜디오(950190) 기업 분석 – 게임과 K-콘텐츠 융합으로 도약할까? (2) | 2025.04.22 |
---|---|
기술로 승부하는 제놀루션, 팬데믹 이후에도 살아남은 이유 (0) | 2025.04.02 |
반도체 장비 국산화의 선두주자, 세메스(SEMECS) (0) | 2025.03.29 |
미래 반도체 시장의 숨은 강자, 주성엔지니어링(036930) (0) | 2025.03.28 |
제이앤티씨(204270) 주가 전망 – 반도체 유리기판 진출, 실적 반등과 미래 성장성 분석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