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관 규격(Pipe Size)이란?
배관 규격은 공칭 직경(NPS: Nominal Pipe Size) 또는 **DN(Diameter Nominal)**으로 표기됩니다.
이 값은 실제 외경과는 다르며, 배관 두께(Schedule)에 따라 내경이 달라집니다.
NPS (inch) | DN (mm) | 실제 외경 (mm) |
1/2" | 15 | 21.34 |
1" | 25 | 33.40 |
2" | 50 | 60.33 |
4" | 100 | 114.30 |
팁: 같은 NPS라도 스케줄에 따라 내경이 달라 유량 계산 시 주의해야 합니다.
2. 배관 스케줄(Schedule)이란?
스케줄은 배관의 벽 두께를 나타내는 단위로, ASME B36.10/B36.19에서 정의합니다.
스케줄 숫자가 높을수록 벽 두께는 두꺼워지고, 내경은 작아지며, 내압 성능은 증가합니다.
Schedule | 두께 (1” 기준) | 적용 분야 |
SCH 10S | 1.65mm | 공압, 비가압 배관 |
SCH 40S | 2.77mm | 일반 산업용 배관 |
SCH 80S | 3.73mm | 고압 증기/유체 배관 |
SCH 160 | 7.11mm | 초고압 설비, 화학 플랜트 |
3. 스케줄에 따른 실제 두께 & 내경 비교 (NPS 2” 기준)
Schedule | 외경(OD) | 벽 두께 | 내경(ID) |
SCH 10S | 60.33mm | 2.77mm | 약 54.8mm |
SCH 40S | 60.33mm | 3.91mm | 약 52.5mm |
SCH 80S | 60.33mm | 5.54mm | 약 49.2mm |
두께가 증가하면 유량이 감소하고 마찰손실이 커지므로, 유속 계산 시 반영 필요
4. 스케줄 선택 시 고려사항
- 설계 압력 (PSI, Bar 등)
- 유체 종류 (산성, 부식성, 고온·고압 등)
- 재질 (SUS, PVC, PFA 등)과 용접성
- 구조적 안전 여유율 (Corrosion Allowance)
- 현장 시공성 (중량, 용접 편의성 등)
예: SCH 80 이상은 용접성 저하 및 중량 증가 고려 필요
5. 재질별 일반적인 스케줄 선택 관례
재질 | 주로 사용하는 스케줄 |
SUS304/316L | SCH 10S, 40S |
Carbon Steel | SCH 40, 80, 160 |
PVC | 자체 두께 표기 사용 (단위: mm) |
PFA/PTFE | Thin-wall 또는 자체 규격 적용 |
6. ANSI vs JIS vs KS 규격 차이
항목 | ANSI/ASME (미국) | JIS (일본) | KS (대한민국) |
단위 체계 | Inch 기준 | mm 기준 | mm 기준 |
스케줄 호환성 | 고압 설비에 적합 | 저압 및 보급형 | 국내 내수 기준 중심 |
배관 규격 | NPS 기반 | A, B 관 구분 | JIS와 유사 |
국내 플랜트의 수출용 설계는 대부분 ANSI 기반 (ASME B36.10 사용)
7. 플랜트별 적용 사례
- 반도체 설비: SUS316L, PFA 배관, 보통 SCH 10S 사용
- 화학 플랜트: SCH 80~160 사용, 부식 여유 고려
- 제약·식음료: 위생등급 배관 사용 (Thin wall, SCH 10)
8. 실제 단면도 예시 이미지
요청 시 NPS 1~4” 배관의 스케줄별 단면 일러스트 제공 가능 (외경/두께/내경 시각화)
9. 요약 및 실무 팁
- 배관 규격은 외경, 스케줄은 두께
- 스케줄이 다르면 내경과 유량이 달라짐
- 도면 설계 시 반드시 ASME 표준 치수표 참고
- SCH 80 이상은 용접성·중량 고려 필수
- 배관재와 유체 특성에 따라 스케줄은 다르게 선택
반응형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룸 등급별 분류 & 유지 조건 – ISO 등급, 공기청정도 기준 정리 (0) | 2025.04.01 |
---|---|
산업용 유량계의 종류와 작동 원리 – Coriolis, 터빈, 초음파, 전자식 비교 해설 (0) | 2025.04.01 |
스키드(Skid) 시스템이란? – 반도체 플랜트 핵심 장비 해설 (0) | 2025.03.30 |
플랜트 도면 기호 20선 – P&ID 간단 해설 (0) | 2025.03.30 |
산업용 펌프의 종류와 작동 원리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