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코스피 기술적 분석
항목 | 수치 및 해석 |
주간 종가 | 2,557.98 (-86pt, -3.25%) |
주봉 RSI | 43.1 (과매도 구간 임계점) |
MACD | 하방 지속, 시그널선과 거리 유지 |
이동평균선 | 20일선(2,592), 60일선(2,618) 이탈 지속 |
지지선 | 2,540 / 2,500 |
저항선 | 2,600 / 2,630 (심리적 반등 저항 예상) |
해석:
RSI는 과매도 구간에 근접했고, 주봉 기준으로 낙폭이 과도한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20일선·60일선 모두 이탈한 상태이며, 추세적 반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수급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2. 업종별 흐름 및 수급 특징
업종 | 수급/기술적 해석 |
반도체 | 외국인 중심 순매도 지속, 낙폭 확대 |
2차전지 | 거래량 위축, 기술적 반등 대기 |
금융 | 혼조세, 보험·은행주 상대 강세 |
건설 | 정부 공급 확대 정책 수혜 기대 |
방산 | 지정학적 긴장 심화, 기관 순매수 유입 |
요약:
실적 기대 종목보다는 정책·테마 기반 종목에 상대적 강세
시장이 반등할 경우 낙폭과대 반도체·IT 대형주가 키 리더 가능성
3. 수급 흐름 분석 (3월 25일~29일)
구분 | 개인 | 외국인 | 기관 |
KOSPI | +5,409억 | -6,421억 | +31억 |
KOSDAQ | +1,198억 | -1,162억 | -39억 |
선물 | +2,741계약 | -9,169계약 | +6,707계약 |
콜옵션 | +4,589계약 | -6,794계약 | +2,322계약 |
풋옵션 | -11,046계약 | +12,114계약 | -1,286계약 |
포지션 해석:
외국인은 선물, 현물, 풋옵션까지 전방위 하방 포지션.
기관은 방어적 매수세 유입. 개인은 반등 기대감 기반으로 콜옵션 및 현물 집중 매수.
4. 프로그램 매매 동향
시장 | 전체 | 차익 | 비차익 |
KOSPI | -2,940억 | +26억 | -2,966억 |
KOSDAQ | -809억 | +337억 | -1,147억 |
해석:
비차익 매도가 대규모로 유입되며 투자심리를 압박했고, 수급 기반이 약화된 흐름.
이탈된 비차익 자금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추가 조정 가능성도 존재.
5. 글로벌 및 국내 주요 경제지표
날짜 | 이벤트 | 예상치 | 실제 | 해석 |
3/29(금) | 중국 제조업 PMI | 50.2 | 50.5 | 확장국면 진입 확인 |
4/1(월) | 한국 3월 수출입 | - | 발표 예정 | 반도체 수출 증가 여부 주목 |
4/1(월) | 미국 ISM 제조업 PMI | 48.5 | 발표 예정 | 기준 미달시 경기 둔화 우려 확대 |
4/3(수) | 미국 ADP 민간고용 | 148K | 발표 예정 | 고용시장 열기 여부 확인 포인트 |
4/5(금) | 미국 비농업 고용 (NFP) | 213K | 발표 예정 | 시장 방향성 결정 핵심 이벤트 |
지표별 시나리오 정리:
- NFP가 250K 이상 →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증시 하락 압력
- NFP가 180K 이하 → 금리 인하 기대 강화, 반등 모멘텀
- 한국 수출 증가 시 → 반도체·IT 중심 단기 반등 기대감 확산
6. 종합 해석
- 외국인은 선물·옵션 시장에서 일관된 하방 포지션을 구축 중
- 기관은 선물 매수와 콜옵션 매수 확대를 통해 수급 방어에 집중
- 기술적으로 과매도 신호는 존재하지만, 외국인 수급 전환 전까지는 제한적 반등에 그칠 가능성
- 이번 주는 글로벌 고용지표와 한국 수출입 실적 발표에 따라 주가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 높음
7. 투자 전략 제안
-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 구간 진입 가능성 있음. 현금 비중 확대 유효
- KOSPI 2,500 하단은 단기 저점 후보. 이탈 시 하방 가속 우려 존재
- 주중 반등 시 2,600선 돌파 여부 확인 → 강한 수급 반전 신호로 해석 가능
- 중소형 가치주, 낙폭과대 IT·소재 섹터 중심 분할매수 고려
- 미국 고용지표 발표 이후 방향성에 따라 숏 포지션 해소 가능성 있음. 반등 시 숏커버 유입 기대
출처: 삼성증권, 한국거래소, 블룸버그, 통계청, 미국 노동부 등
작성: NOWDAY 리서치
반응형
'NOWDAY ORIGINAL > 한국 증시 주간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7일~11일 국내 증시 전망: 글로벌 무역 갈등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의 영향 (0) | 2025.04.05 |
---|---|
최근 증시 하락의 부족한 반등 요인 분석 (0) | 2025.03.31 |
2025년 3월 24일~28일 한국 증시 전망 : 반도체 랠리 지속될까? 공매도 재개 앞둔 시장의 선택 (0) | 2025.03.22 |
25년 3월 3주차 한국 증시 전망 : FOMC 회의, 환율, 무역분쟁 변수 분석 (1)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