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DAY ORIGINAL/스터디

IS-LM 모형 : 금리 정책과 경제 균형 분석

by NOWDAY 2025. 3. 3.
IS-LM 모형을 활용한 금리 정책과 경제 균형 분석. 중앙은행의 역할과 경기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을 정리합니다.

1. IS-LM 모형이란?

기본적인 IS-LM 모형 (출처:NOWDAY)
기본적인 IS-LM 모형 (출처:NOWDAY)

IS-LM 모형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의 거시경제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로, 이자율(X축)과 국민소득GDP(Y축)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위 차트는 '기본적인 IS-LM' 모형이다. 

  • IS 곡선: 상품시장 균형을 나타냄 (투자-저축 균형)
  • LM 곡선: 화폐시장 균형을 나타냄 (통화공급-통화수요 균형)

이 모델을 활용하면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2. IS 곡선: 상품시장 균형

IS 곡선(Investment-Saving Curve)은 상품 시장에서 투자와 저축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을 나타낸다.

  • 투자가 증가하면 총수요(AD)가 증가하여 GDP(국민소득, Y)가 상승
  •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의 차입 비용 증가 → 투자가 감소 → GDP 하락

IS 곡선의 공식

Y=C+I+G+NXY = C + I + G + NX
  • YY: 국민소득(GDP)
  • CC: 소비
  • II: 투자
  • GG: 정부 지출
  • NXNX: 순수출(수출 - 수입)

금리(i)가 상승하면 투자(I)가 감소하고, GDP(Y)도 감소하여 IS 곡선이 우하향하는 형태를 띤다.


3. LM 곡선: 화폐시장 균형

LM 곡선(Liquidity Preference-Money Supply Curve)은 화폐시장에서 통화공급과 통화수요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을 나타낸다.

  •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수익률 증가 → 사람들은 화폐 보유를 줄이고 채권을 더 많이 구매
  • 금리가 낮으면 유동성이 증가 → 기업과 개인의 차입 증가 → 소비 및 투자 증가

LM 곡선의 공식

M/P=L(Y,i)M/P = L(Y, i)
  • M/PM/P: 실질 통화 공급량
  • L(Y,i)L(Y, i): 실질 화폐 수요 함수 (GDP와 금리에 영향을 받음)

GDP(Y)가 증가하면 화폐 수요도 증가하여,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금리(i)가 상승한다. LM 곡선은 우상향하는 형태를 띤다.


4. 금리 정책과 IS-LM 균형 변화

(1) 확장적 통화정책 (금리 인하) → LM 곡선 우측 이동

) 확장적 통화정책 (금리 인하) → LM 곡선 우측 이동
LM 곡선 우측 이동 (출처 : NOWDAY)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면 → 화폐 공급 증가 → 기업의 차입 비용 감소 → 투자 증가 → GDP 증가

그래프 변화:
*LM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 → 실질 GDP(Y)가 증가
*금리가 하락(i↓)하면서 투자(I)와 소비(C)가 증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LM곡선(빨간 점선)과 LM(파란색 실선)이 만나는 지점이 새로운 균형점이다(초록색X), 기존의 균형점보다 새로운 균형점이 더 높은 GDP(X축상 오른쪽으로 이동), 더 낮은 금리(Y축상 아래로 이동)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 2020년 미국 연준의 제로금리 정책

  • 코로나19 경기침체 대응을 위해 Fed는 금리를 0%로 인하
  •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여 GDP 회복

(2) 긴축적 통화정책 (금리 인상) → LM 곡선 좌측 이동

긴축적 통화정책 (금리 인상) → LM 곡선 좌측 이동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 화폐 공급 감소 → 기업 차입 비용 증가 → 투자 감소 → GDP 둔화
LM 곡선 좌측 이동 (출처 : NOWDAY)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 화폐 공급 감소 → 기업 차입 비용 증가 → 투자 감소 → GDP 둔화

그래프 변화:
*LM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 → 실질 GDP(Y)가 감소
*금리가 상승(i↑)하면서 투자(I)와 소비(C)가 감소

예시: 2022~2024년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Fed가 기준금리를 5% 이상으로 인상
  • 투자 및 소비 감소 → 경제 성장 둔화

(3) 재정정책과 IS 곡선 변화

정부가 지출을 증가시키면 → IS 곡선이 우측 이동 → GDP 증가정부가 지출을 줄이면 → IS 곡선이 좌측 이동 → GDP 감소
재정정책(정부 지출 증가 or 감세)은  IS 곡선의 이동 을 유발한다.

재정정책(정부 지출 증가 or 감세)은 IS 곡선의 이동을 유발한다.

**정부가 지출을 증가시키면 → IS 곡선이 우측 이동 → GDP 증가

**정부가 지출을 줄이면 → IS 곡선이 좌측 이동 → GDP 감소

 

>오른쪽으로 이동한 LM(파란색 점선)과 LM곡선(빨간 실선)이 만나는 지점이 새로운 균형점이다(파란색X)

>왼쪽으로 이동한 LM(파란색 점선)과 LM곡선(빨간 실선)이 만나는 지점이 새로운 균형점이다(보라색X)

예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경기부양책

  • 정부가 대규모 인프라 투자 및 감세 정책 시행
  • IS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경기 회복

5. IS-LM 모형을 활용한 경제 분석

*금리 인상(긴축 정책)

  • LM 곡선 좌측 이동 → 금리 상승(i↑) → 투자 감소 → GDP 감소
  •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만, 경기 둔화 가능성이 있음

*금리 인하(완화 정책)

  • LM 곡선 우측 이동 → 금리 하락(i↓) → 투자 증가 → GDP 증가
  • 경기 부양 효과가 있지만,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음

*정부 지출 증가(확장적 재정정책)

  • IS 곡선 우측 이동 → GDP 증가
  • 하지만 국가 부채 증가 위험이 있음

결론

  • IS-LM 모형은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다.
  •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잡지만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금리 인하는 경기 부양 효과가 있지만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인다.
  • 2025년 이후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IS-LM 모형을 통해 경제 전망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