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DAY ORIGINAL/스터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원인과 역사적 사례

by NOWDAY 2025. 3. 3.

스태그플레이션 개념 정리! 경제 성장 둔화 속에서 물가 상승이 발생하는 이유와 역사적 사례를 통해 분석합니다.

POINT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경기 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 보통 경기 침체가 오면 물가가 하락해야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서도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 1970년대 오일 쇼크 당시 미국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최근 글로벌 경제에서도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중앙은행(미국 연준, 한국은행 등)은 금리 조절과 통화 정책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을 방지하려 하지만, 대응이 어렵다.

세부사항

source : 시사저널e

1.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 둔화 + 물가 상승 + 높은 실업률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둔화되면 물가도 하락하는 것이 정상적인 경제 흐름이지만, 스태그플레이션에서는 경기가 침체되는데도 불구하고 물가가 계속 오르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 공급 충격(Supply Shock)
    • 원유 가격 상승,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
    • 예) 1973년과 1979년 오일 쇼크 → 전 세계 물가 상승 + 경기 침체
  • 잘못된 경제 정책
    •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풀었지만,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물가가 상승
    • 예) 2020년대 코로나19 경기 부양책 → 공급망 붕괴 + 물가 상승
  • 노동 시장 변화 & 임금 인상
    • 기업이 생산 비용 상승을 이유로 제품 가격을 올리면,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을 요구 → 물가 상승 지속

2. 역사적 사례: 1970년대 오일 쇼크 & 현재 글로벌 경제

(1) 1970년대 오일 쇼크 & 미국 스태그플레이션

  • 1973년과 1979년, 중동에서 원유 공급이 급감하면서 글로벌 원유 가격이 급등
  • 미국 경제는 고유가 → 생산 비용 상승 →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지만, 경제 성장은 둔화
  • 실업률 상승 + 물가 상승 →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렸지만 경제는 침체
  • 이후 1980년대 초반 미국 연준(Fed)이 기준금리를 20%까지 올리며 스태그플레이션을 극복

(2) 최근 글로벌 경제 &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최근 몇 년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현재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원자재 가격 상승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석유, 천연가스, 곡물 가격 급등
    • 유럽과 미국의 에너지 비용 상승 → 인플레이션 가속화
  2.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붕괴
    • 2020~2021년 팬데믹 동안 정부가 막대한 돈을 풀었고, 그 결과 수요 급증 → 공급 부족 → 물가 상승
    • 중국의 봉쇄 정책으로 반도체, 전자제품 공급망 차질
  3. 고금리 정책으로 경기 둔화
    • 2022년 이후 미국 연준(Fed)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급격한 금리 인상을 단행
    • 금리 인상 → 소비와 투자 감소 → 경기 침체 가능성 증가

🔥 실제 사례: 2023년~2024년 미국 경제

  • 미국의 2023년 9월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3.7% 기록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 하지만 미국의 제조업 및 고용 데이터 둔화 → 경기 침체 신호 증가
  • 경제 성장이 둔화되지만 물가는 여전히 높은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대두

향후 전망

  1. 미국 연준(Fed)의 금리 정책이 핵심 변수
    •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인플레이션이 잡힐 수 있지만, 경기 침체 위험 증가
    • 금리를 낮추면 경기 부양이 가능하지만, 물가 상승 위험
  2. 원자재 시장 & 지정학적 리스크 주시 필요
    • 글로벌 원유 가격, 식량 가격이 경제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 큼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경제 둔화 등이 글로벌 경제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
  3. 투자 전략 변화
    • 스태그플레이션 환경에서는 방어적 자산이 중요
    • ✅ 배당주, 금, 원자재, 리츠(REITs) 등 인플레이션에 강한 자산 선호
    • ✅ 기술 성장주는 금리 인상 시 타격 →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

결론

  •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어려운 경제 상황이다.
  •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으며, 최근 글로벌 경제에서도 비슷한 조건(고유가, 공급망 문제, 고금리)이 형성되고 있다.
  • 투자자들은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원자재 시장, 경기 둔화 신호를 면밀히 관찰하며 방어적인 투자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출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