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링 규격과 소재별 특성 총정리! 산업별 적용 사례와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을 안내합니다.
1. O링이란?
O링(O-Ring)은 단면이 원형인 탄성체 씰로, 유체 및 가스의 누수를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압, 고온, 화학적 노출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크기와 소재에 따라 성능이 결정됩니다.

2. O링 규격 (AS568 표준)
O링의 크기는 AS568(미국 표준, Aerospace Standard 568) 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내경(ID, Inside Diameter)과 단면(CS, Cross-Section) 으로 구분됩니다.
*O링 사이즈표 (AS568 표준)
규격 | 내경 (ID, mm) | 단면 (CS, mm) |
222 | 21.95 | 3.53 |
223 | 24.99 | 3.53 |
224 | 27.99 | 3.53 |
225 | 31.09 | 3.53 |
226 | 34.09 | 3.53 |
227 | 37.08 | 3.53 |
228 | 40.13 | 3.53 |
334 | 54.99 | 5.33 |
336 | 60.96 | 5.33 |
338 | 69.85 | 5.33 |
340 | 79.38 | 5.33 |
344 | 95.25 | 5.33 |
349 | 119.38 | 5.33 |
355 | 142.88 | 5.33 |
360 | 158.75 | 5.33 |
✔ 규격이 클수록 내경(ID)이 증가하며, 단면(CS)도 다르게 적용됩니다.
3. O링의 주요 소재 및 특성
O링은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됩니다.
환경별 적합한 O링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재 | 특징 | 내열성 (°C) | 내화학성 | 사용 예시 |
NBR (니트릴 고무) | 우수한 내유성, 내마모성 | -40 ~ 120 | 중간 | 유압 장비, 자동차 부품 |
Viton (FKM, 불소고무) | 높은 내화학성, 고온 저항 | -20 ~ 200 | 강함 | 화학 공정, 항공, 반도체 |
EPDM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 내오존성, 내산성 우수 | -50 ~ 150 | 강함 | 물, 증기, 자동차 냉각 시스템 |
Silicone (실리콘 고무) | 내열성, 식품용 가능 | -60 ~ 230 | 보통 | 의료 기기, 식품 가공 |
PTFE (테프론) | 가장 높은 내화학성, 낮은 마찰계수 | -200 ~ 260 | 매우 강함 | 화학, 제약, 반도체 |
FFKM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 | 극한 내화학성, 고온 저항 | -20 ~ 325 | 최강 | 반도체, 항공우주, 특수 산업 |
✔ 식품·의료용은 실리콘, 고온·내화학성 환경은 FKM, PTFE를 추천
4. O링 선택 시 고려 사항
O링을 선택할 때는 다음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온도 조건: 사용 환경의 최고 및 최저 온도를 고려하여 내열성이 적절한 소재 선택
- 화학적 저항성: 접촉할 액체 또는 가스에 대한 내화학성이 뛰어난 소재 선택
- 압력 및 마모 저항성: 고압 환경에서는 경도가 높은 O링이 필요
- 식품 및 의료용 여부: FDA 승인을 받은 실리콘 또는 PTFE 사용
5. O링의 활용 분야
✔ 자동차 및 기계 부품: 엔진 씰, 유압 실린더
✔ 반도체 및 전자 산업: 화학 공정 장비
✔ 의료 및 식품 산업: 식품 가공 설비, 의료기기
✔ 항공 및 방산: 연료 시스템, 유압 시스템
✔ 산업용 배관 시스템: 가스, 유체 배관 밀폐
6. 결론
O링은 크기(222, 224, 334 등)와 소재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사용 환경에 맞는 적절한 O링을 선택하여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세요!
반응형
'산업·기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사산 규격 & 변환표 – 미터법/인치법 규격표 (0) | 2025.03.11 |
---|---|
배관용/압력배관용/일반구조용 강관 규격표 (Steel Pipe Specifications) (0) | 2025.03.05 |
산업용 피팅 종류 & 규격 총정리 – LOK, VCR, 플랜지, 용접 피팅 차이점 (0) | 2025.03.05 |
플랜지의 정의 및 분류, 선택시 고려사항 (0) | 2025.03.04 |
플랜지 규격표 (산업표준별-ANSI/DIN/JIS) - Flange Dimension Table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