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 기업 분석! 몬델리즈의 커피자회사 매각 이후 사업 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동서식품의 성장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동서(026960) 심층 분석 보고서
1. 기업 개요
동서(주)는 1975년 설립된 국내 대표적인 식음료 기업으로, 식품 사업, 포장재 사업, 다류(茶類) 사업, 수출입 및 구매대행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군은 커피믹스, 차(茶) 제품, 합성수지 기반 식품 포장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동서는 미국 몬델리즈(Mondelez)사와 50:50 합작으로 설립한 동서식품을 통해 국내 인스턴트커피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습니다.
동서식품의 맥심(Maxim) 브랜드는 국내 인스턴트커피 시장 점유율이 약 88%에 달하며, 맥스웰하우스, 카누(KANU) 등의 브랜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해왔습니다. 이러한 브랜드 파워와 광범위한 유통망을 바탕으로 동서는 국내 식음료 업계에서 확고한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재무 분석
동서는 최근 수년간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면서도 주주환원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24년 연결 기준 실적:
- 매출액: 4,888억 6,039만 원 (전년 대비 큰 변동 없음)
- 영업이익: 444억 7,696만 원 (전년 대비 1.6% 증가)
- 당기순이익: 1,590억 4,714만 원 (전년 대비 8.7% 증가)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여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증가하였으며, 매출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핵심 재무 지표 추이:
연도 | 매출액(억원) | 영업이익(억원) | 순이익(억원) |
2019 | 5,054 | 416 | 1,405 |
2020 | 4,930 | 451 | 1,206 |
2021 | 5,353 | 384 | 1,151 |
2022 | 5,565 | 392 | 1,696 |
2023 | 4,897 | 438 | 1,463 |
2024 | 4,888 | 445 | 1,590 |
연도 | 1주당 배당금(원) | 배당수익률(%) |
2019 | 700 | 2.18 |
2020 | 700 | 2.31 |
2021 | 730 | 3.33 |
2022 | 780 | 4.18 |
2023 | 890 | 3.30 |
2024 | 890 | 3.30 |
> 1주당 배당수익률은 해당 연도의 주가에 따른 시가 배당률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배당 정책은 동서의 안정적인 수익성과 주주 친화적인 경영 방침을 나타냅니다.
재무 안전성 및 주주 환원
- 부채비율: 4.4% (매우 낮음)
- ROE: 2021년 8.1% → 2022년 11.3% → 2023년 9.2%
- 배당 정책: 매년 영업현금흐름의 50~60%를 배당으로 지급하는 주주친화 정책 유지
3. 업종 분석
동서가 속한 식음료 산업은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필수소비재 분야로, 안정적인 수요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식품 시장은 인구 정체와 경쟁 심화로 저성장 기조를 보이며, 기업들은 프리미엄 제품 출시나 신시장 개척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1인당 커피 소비량이 높은 국가로, 커피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인스턴트커피 믹스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든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카누(KANU) 등 프리미엄 제품군 확대가 핵심 성장 전략이 되고 있습니다.
주요 경쟁사 및 시장 점유율
- 동서식품(맥심, 카누 등): 시장 점유율 88%
- 남양유업(프렌치카페), 네슬레(Nescafé): 점유율 합계 약 10%
경쟁사 점유율이 낮아 동서식품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되고 있지만, 신선 원두커피나 캡슐커피 선호 증가 등의 소비 트렌드 변화는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투자 포인트
✔ 압도적 시장 지위: 동서식품을 통한 인스턴트커피 시장 독점 구조로 안정적 현금 흐름 창출
✔ 재무적 안정성: 부채비율 4.4%, 풍부한 현금성 자산으로 재무 리스크 최소화
✔ 높은 배당 수익률: 3~4%대 배당수익률 유지, 장기 투자자에게 유리한 배당 정책
✔ 성장 가능성: 프리미엄 제품군 확대, 해외 수출 가능성 등의 성장 모멘텀 보유
✔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 증가: 최근 몬델리즈가 그룹 내 유일한 커피 관련 계열사인 피츠(Fitz) 브랜드를 매각함에 따라, 동서식품의 해외 사업 확장 가능성이 증가하였습니다. 기존에는 합작구조로 인해 해외 진출이 제한적이었으나, 이로 인해 동서식품이 자체적인 수출 기회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5. 리스크 요인
⚠ 원자재 가격 변동 위험: 커피 원두, 설탕 등의 가격 상승 시 원가 부담 증가
⚠ 소비 트렌드 변화: 원두커피, 캡슐커피 시장 확대로 인해 전통적인 인스턴트커피 믹스의 수요 감소 가능성
⚠ 합작구조의 한계: 몬델리즈와의 합작 구조로 인해 동서식품의 해외 진출이 제한될 가능성 (다만 최근 피츠 매각으로 변화 가능성 존재)
6. 증권사 및 전문가 의견
증권가는 동서를 “우량 배당주” 로 평가하면서도, 성장성이 제한적인 기업으로 보고 있습니다.
- 긍정적 평가: 높은 배당수익률과 안정적인 현금 창출력
- 부정적 평가: 내수 위주의 구조적 한계 및 성장 모멘텀 부족
- 주가 재평가 가능성: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합작구조 변화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재평가 여지 존재
7. 결론
필자는 '동서'를 매수할 가치가있다고 생각한다.
2025년 연초부터 AI를 필두로 상승과 하락의 변동폭이 심해지고있다. 나스닥의 고점론과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때마다 출렁이는 국내 지수들을 보면 멀미만 나온다. 본인의 포트폴리오에 식품주가 없다면 우선적으로 고민해볼만하지 않을까?
- 한정적인 매출액 상승폭, 하지만 반대로 시장이 나빠질때도 매출을 유지했다는 것은 매력적인 부분?
- 동서식품의 절반의 지분을 가진 몬델리즈의 향후 방침에 변동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졌음
- 한국거래소 '코리아 밸류업 지수' 구성종목에 필수소비재 항목으로 포함 + 향후 배당률 상승 및 주주환원 상승 가능성
(본 포스트는 투자자에게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출처 정리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 동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 한국거래소(KRX) – 동서(026960) 주가 및 거래 정보
- FnGuide – 동서 재무제표 및 컨센서스 자료
- 아이투자 – 동서 기업 분석 및 밸류에이션 자료
-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 동서 관련 증권 리포트
- 한국경제, 매일경제, 조선비즈 – 동서식품 및 커피시장 관련 뉴스
- 글로벌 커피 시장 리서치 자료(Statista, Euromonitor)
- 몬델리즈(Mondelez) IR 자료 – 동서식품 지분 구조 및 해외사업 관련 내용
- 네이버 금융 – 동서 재무 정보 및 배당 내역
- 한국무역협회 – 국내 식음료 및 포장재 시장 현황
'NOWDAY ORIGINAL > 기업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바이포(4BY4) 분석 및 투자 전략 - 경쟁력 있는 AI 솔루션기업 (3) | 2025.03.02 |
---|---|
SK바이오팜 심층 분석 보고서 - 세노바메이트(XCOPRI) 미국향 매출 급증, 수익성 개선 가속화 (0) | 2025.03.02 |
블록(Block Inc.) 기업 분석: 소상공인으로 부터 시작된 핀테크 혁신 (1) | 2025.02.19 |
모바일아이(Mobileye) 기업 분석: 자율주행 반도체의 강자, 미래 모빌리티를 이끄는 기업 (1) | 2025.02.19 |
BlackSky Technology (BKSY) 기업 분석: AI 기반 위성 데이터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