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DAY ORIGINAL/미국 증시 전망

트럼프 정부 이후 2차전지 시장 전망

by NOWDAY 2025. 2. 19.

트럼프 행정부 이후 2차전지 시장 변화 분석!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향후 전망을 평가합니다.

1. 주요 포인트

  • 미국 2차전지 정책 변화: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이 약화될 가능성
  • 무역 정책 영향: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 2차전지 공급망에 미칠 영향
  • 산업 변화: 테슬라, LG에너지솔루션, CATL 등 주요 기업들의 대응 전략

이미지 출처: Getty Images

2. 정책 변화와 2차전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

친환경 정책 약화 가능성

트럼프 정부는 전통 에너지(석유, 석탄)를 우선시하고 신재생 에너지 및 전기차 보조금을 축소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바이든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축소 또는 철회된다면:

  • 전기차 세금 공제 축소: EV(전기차) 보급 속도 둔화 예상
  • 배터리 생산 투자 감소: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건설이 둔화될 가능성
  • 글로벌 공급망 변화: 해외(특히 중국) 의존도가 다시 증가할 가능성

무역 관계 및 공급망 문제

트럼프 정부는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 미국 내 전기차 및 배터리 가격 상승
  • 중국 배터리 기업(CATL, BYD 등)의 미국 시장 진출 제한 → 미국 배터리 기업에 유리한 환경 조성
  • 미국 내 자체 배터리 공급망 구축 가능성 증가 → 국내 생산 확대 가능

3. 주요 2차전지 기업 및 주가 변동 현황

기업명티커트럼프 정부 출범 후 주가 변동률 (2025년 2월 기준)

LG에너지솔루션 373220.KQ -4.5% (미국 IRA 축소 우려)
삼성SDI 006400.KQ -2.3% (미국 전기차 보조금 영향)
SK이노베이션 096770.KQ -6.1% (미국 배터리 공장 투자 감소 예상)
테슬라 TSLA -8.4%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우려)
CATL 300750.SZ -10.2% (미국 시장 제한 가능성)
퀀텀스케이프 QS -12.5% (고체 배터리 상용화 지연 우려)
솔리드파워 SLDP -7.8% (미국 정부 지원 감소 가능성)
프리몬트 배터리 FRBT -5.2% (미국 내 생산 확대 기대감)

📌 트럼프 정부 이후 전기차 및 배터리 기업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이는 IRA 축소 가능성과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우려 때문임.


4.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을 보유한 주요 기업 및 미국 시장 매출 비중

기업명 미국 내 배터리 공장 위치 미국 시장 매출 비중
LG에너지솔루션 미시건, 오하이오, 테네시 25%
삼성SDI 인디애나 15%
SK이노베이션 조지아 20%
파나소닉 네바다(테슬라 협력) 30%
테슬라 (자체 배터리 생산) 네바다, 텍사스 50%
퀀텀스케이프 캘리포니아 10%
솔리드파워 콜로라도 12%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대하며 현지 시장 점유율을 늘려가는 중이며, 테슬라와 파나소닉은 북미 배터리 공급망을 중심으로 높은 매출 비중을 유지하고 있음.

또한, 퀀텀스케이프(QS)와 솔리드파워(SLDP)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고체 배터리)을 연구하며 미국 내 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있음.


5. 향후 시장 전망

  • 배터리 생산의 미국 내 현지화가 가속화될 가능성 → 미국 기업 및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 긍정적 영향
  • 배터리 원자재(리튬, 니켈 등) 공급망 다변화 필요 →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시장 변화 예상
  • 전기차 시장 둔화 가능성 존재 → 보조금 축소 및 관세 부과 가능성

투자 전략

📌 단기적 조정 가능성 대비: 2차전지 기업들의 주가 조정이 예상되므로, 가격 조정 시 저가 매수 전략 고려 📌 장기적 성장성 주목: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건설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진행될 경우, 장기적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


6. 결론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는 단기적으로 2차전지 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가능성이 크지만,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 구축이 가속화될 경우, 장기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같은 한국 배터리 기업들과 퀀텀스케이프, 솔리드파워 같은 미국 배터리 기업들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며, 미국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질 수 있다.

투자자들은 IRA 정책 변경, 미중 무역 갈등, 미국 내 배터리 공장 투자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투자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출처: Bloomberg, Reuters, U.S. Department of Energy, Goldman Sachs, Morgan Stanley, LG Energy Solution Report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