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마감 기준: KOSPI 2,470.41 (+0.94%), KOSDAQ 711.75 (+1.81%)
주요 특징: 외국인 선물 매수세 유입과 기관 중심의 현물 순매수가 시장을 견인하며 양 지수 상승. 옵션 시장은 콜옵션 강세, 풋옵션 약세 흐름. 프로그램 매매는 양 지수 모두 비차익 중심 순매도세.

1. 투자자 동향
구분 | 개인 | 외국인 | 기관 |
KOSPI | -1,102억 | -3,510억 | +3,688억 |
KOSDAQ | -1,418억 | +966억 | +487억 |
선물 | -660계약 | -14계약 | +674계약 |
콜옵션 | -3,604계약 | +542계약 | +3,788계약 |
풋옵션 | -2,762계약 | +5,586계약 | -181계약 |
2. 프로그램 매매 동향
구분 | 전체 | 차익 | 비차익 |
KOSPI | -1,881억 | +369억 | -2,251억 |
KOSDAQ | +1,132억 | +203억 | +928억 |
3. 당일 선물 및 옵션 시장 주요 특징
- 선물 시장: 기관이 +674계약 순매수하며 헤지성 포지션 확대. 외국인은 방향성 없이 관망세.
- 콜옵션 시장: 외국인과 기관 중심의 대규모 매수세 유입. 시장 상승 기대감 반영.
- 풋옵션 시장: 외국인의 대량 매수세 확인되며 리스크 헷지 흐름 강화. 개인은 대규모 매도.
4. 경제 지표 & 이슈
날짜 | 이벤트/지표 | 예상치 | 실제 발표 | 시장 영향 |
4/17(목) |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 21.5만건 | TBD | 노동시장 안정성 관건 |
4/17(목) |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 -0.7 | TBD | 미국 제조업 회복 기대 |
4/18(금) | 한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 +0.4% | TBD | 기업 원가 부담 판단 지표 |
4/19(토) | 중국 1분기 GDP 발표 | +4.8% | TBD | 아시아 시장 반응 예상 |
5. 종합 분석
- 현물 시장: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대규모 순매도를 보였으나 기관의 매수세가 지수 하단을 지지. 코스닥에서는 외국인 매수로 상승률이 더 컸음.
- 파생 시장: 외국인 중심의 풋옵션 대량 매수는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반영. 콜옵션 매수 역시 혼조된 심리 반영.
- 수급 구조: 외국인은 옵션에서 양매수 전략, 현물에서는 이탈. 기관은 코스피 현물·콜옵션 모두 적극 매수하며 방어적 흐름.
6. 시장 전망
- 단기 기술적 반등 국면 진입 중이나, 외국인의 선물 및 풋옵션 포지션이 방어적이라는 점은 주의 요인.
- 필라델피아 연은지수, 미국 실업청구건수 등 경제지표 발표 후 시장 방향성 재확인 필요.
- 금주 후반 중국 GDP 발표를 앞두고 아시아 시장 변동성 확대 예상.
7. 투자자 전략 제안
- 단기: 옵션 수급 혼조 → 단기 트레이딩 시 주의 필요.
- 중기: 기관 중심 코스피 매수세 유효, 리스크 관리 병행 필요.
- 주의 지점: 외국인의 선물/풋 포지션 확대는 조정 가능성 시사 → 레버리지 활용 유의.
반응형
'NOWDAY ORIGINAL > 한국 증시 일일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22일(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22 |
---|---|
2025년 4월 21일(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21 |
2025년 4월 16일(수)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16 |
2025년 4월 15일(화)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 외국인 선물 매수 전환, 기관 중심 상승 (0) | 2025.04.15 |
2025년 4월 10일(목)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