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DAY ORIGINAL/한국 증시 일일 리뷰

2025년 3월 21일(금) 선물 & 옵션 시장 리뷰

by NOWDAY 2025. 3. 21.

 

1. 투자자 동향

구분 개인 외국인 기관
KOSPI -5,403억 원 +8,512억 원 -4,001억 원
KOSDAQ -1,667억 원 +510억 원 +1,167억 원
선물 -1,490계약 +4,711계약 -2,338계약
콜옵션 -2,781계약 +6,106계약 -3,218계약
풋옵션 -2,451계약 +684계약 +4,426계약

2. 프로그램 매매 동향

구분 전체 차익 비차익
KOSPI +3,902억 원 -263억 원 +4,165억 원
KOSDAQ +1,906억 원 +1,121억 원 +784억 원

3. 당일 선물 및 옵션 시장 주요 특징

  • 외국인이 선물에서 4,711계약을 순매수하며 시장 상승을 주도. 특히 현물 시장에서도 대규모 순매수를 병행해 상승 기대감 강화.
  • 콜옵션 시장에서는 외국인의 강한 매수세가 돋보임 (+6,106계약), 반면 기관은 대규모 매도세.
  • 풋옵션 시장에서는 기관이 적극적인 헤지 포지션 구축 (+4,426계약), 하방 위험도 염두.
  • P/C Ratio는 하락세 유지 → 상승 기대 우위 분위기.

4. 경제 지표 & 이슈

날짜 이벤트/지표 예상치 실제 발표 시장 영향
3/17(월) 미국 산업생산지수 +0.3% +0.1% 경기 둔화 우려 반영
3/18(화) 한국 수출입 동향(1~10일) - +12.5% 제조업 회복 기대
3/18(화)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CPI) +2.6% +2.7% ECB의 금리 동결 압박 강화
3/19(수) 일본 무역수지 -1.1조 엔 -1.3조 엔 엔화 약세 지속 → 수출 경쟁력 변화 주목
3/20(목) 미국 FOMC 기준금리 발표 동결 예상 금리 동결 증시 불확실성 해소 → 긍정 반영
3/21(금) 한국 2월 산업생산지표 +1.2% +1.1% 제조업 회복세 확인
3/22(토) 중국 대출우대금리(LPR) 결정 3.45% TBD 중국 경기부양 여부 관전 포인트

5. 종합 분석

  • 개인: 차익 실현 심리로 현물과 선물 모두에서 순매도. 특히 콜옵션에서도 대규모 매도 포지션을 취하며 상승 기대감을 낮춤.
  • 기관: 현물에서는 방어적 매수, 선물과 옵션에서는 하방 리스크 대응 전략. 풋옵션 대량 매수로 하락 대비 포지션 명확.
  • 외국인: 현물·선물·콜옵션에서 동반 순매수. 금리 동결과 글로벌 리스크 완화 기대감 속에 위험자산 선호 강화.

6. 시장 전망

오늘 시장은 외국인의 광범위한 매수세가 가장 두드러졌습니다. 선물과 현물 모두에서 외국인의 유입이 확연했으며, 특히 콜옵션 시장에서의 강한 베팅은 단기적으로 상승 랠리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관은 반대로 풋옵션 대규모 매수, 선물 매도를 통해 시장의 하락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상승세에 대한 경계심을 보여줍니다.

FOMC의 금리 동결 발표는 시장 불확실성을 완화시켰지만, 유로존의 예상보다 높은 물가(+2.7%)와 일본의 적자 폭 확대는 글로벌 거시 흐름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ECB의 추가 긴축 가능성이 살아있고, BOJ가 통화정책 전환 초기인 만큼 해외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한편, 한국의 산업생산지표가 기대치를 소폭 하회하긴 했으나 여전히 플러스로 유지되며 제조업 회복 흐름은 지속 중입니다. 다음 주 발표될 중국의 LPR 결정과 미국의 내구재 주문 지표 등에 따라 아시아 증시의 단기 흐름이 좌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7. 투자자 전략 제안

  • 외국인 매수 흐름이 유지되는지 주말 이후 지속 관찰 필요. 특히 선물과 현물의 동반 매수는 강력한 상승 시그널로 간주됨.
  • 기관의 헤지 전략이 현실화될 경우, 변동성 확대 구간이 올 수 있으므로, 옵션 포지션 관리에 유의.
  • FOMC 이후 랠리 기대감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으나, 유럽과 일본의 복합 리스크 요인은 중기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
  • 단기 투자자는 기술적 과열 신호(옵션 시장 과매수 등) 체크 필요, 주간 고점 돌파 여부가 핵심 변곡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