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케시 기업 분석! 국내 B2B 핀테크 대표 기업으로 자리 잡은 웹케시의 사업 모델과 성장 가능성을 살펴봅니다.
1. POINT - 핵심 요약
- B2B 핀테크 1세대 기업: 1999년 설립, 기업 금융 솔루션(CMS) 분야에서 독보적 시장 점유율 보유
- 핵심 제품: ‘경리나라’(중소기업용 ERP), ‘브랜치’(대기업 CMS), ‘인하우스뱅크’(공공기관 금융 시스템)
- 최근 실적: 2024년 9월 연결기준 매출 536억 원, 영업이익 105억 원 (전년 대비 7% 증가)
- 성장 모멘텀: AI 기반 자금관리 솔루션 ‘AI CFO 스위트’ 출시 예정, 동남아 시장 확장 추진
- 위험 요소: 핀테크 경쟁 심화, 금융 데이터 보안 이슈
2. 세부사항 - 웹케시의 핵심 사업 및 성장 배경
(1) 기업 개요 및 사업 모델
웹케시는 기업용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으로, 국내 B2B 핀테크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음.
특히, 기업 고객이 필요한 자금관리 시스템(CMS), 전자금융 플랫폼, 세무·경리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기업의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이 핵심 사업 모델임.
*주요 제품 라인업
제품명 | 대상 고객 | 주요 기능 |
경리나라 | 중소기업 | 회계·세무 자동화, 급여·지출 관리 |
브랜치 | 대기업 | 기업 내부 금융 관리, 은행 API 연동 |
인하우스뱅크 | 공공기관·대기업 | 금융 시스템 구축, 내부 은행 운영 |
AI CFO 스위트 (신규) | 중소~대기업 | AI 기반 자금 관리 및 예측 |
(2) 최근 실적 및 재무 안정성
**연결 기준 실적(2024년 9월)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추정) |
매출액 (억원) | 612 | 728 | 819 | 879 | 736 | 715 |
영업이익 (억원) | 93 | 143 | 187 | 206 | 137 | 140 |
당기순이익 (억원) | 93 | 174 | 149 | 115 | 56 | 70 |
자산총계 (억원) | 632 | 992 | 1,361 | 1,289 | 1,217 | 1,238 |
부채총계 (억원) | 90 | 321 | 369 | 259 | 184 | 220 |
자본총계 (억원) | 542 | 671 | 992 | 1,030 | 1,033 | 1,018 |
부채비율 (%) | 16.6 | 47.8 | 37.2 | 25.1 | 17.8 | 21.6 |
영업이익률 (%) | 15.2 | 19.6 | 22.8 | 23.4 | 18.6 | 19.5 |
ROE (%) | 17.2 | 26.0 | 16.0 | 11.4 | 5.4 | 6.9 |
EPS (원) | 1,300 | 1,095 | 837 | 411 | 538 | - |
BPS (원) | 5,475 | 7,766 | 8,042 | 7,946 | 8,501 | - |
DPS (원) | 126 | 100 | 100 | - |
- |
2024년 수치는 증권가 추정치이며, 실제 연간 실적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기업의 핵심 강점은 높은 영업이익률(19~20%)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캐시플로우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
핀테크 업계에서 B2B 솔루션 기업은 고객 이탈률이 낮아 수익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음. - 2024년 기준, 매출과 이익 모두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3) 경쟁사 분석 – 웹케시의 시장 내 위치
국내 B2B 핀테크 시장에서 웹케시는 기업용 금융 솔루션(CMS) 분야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음.
**경쟁사 비교
기업명 | 주요 서비스 | 강점 | 약점 |
웹케시 | CMS, 경리나라 | B2B 핀테크 1위, 대기업 고객 기반 | 글로벌 시장 약세 |
쿠콘 (294570) | 금융 데이터 API | 금융 데이터 네트워크 강점 | 직접적인 CMS 솔루션 부족 |
NHN한국사이버결제 | 전자결제(PG) | PG 시장 점유율↑ | B2B 핀테크 역량 부족 |
- 웹케시는 B2B 고객을 대상으로 한 핀테크 솔루션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소기업부터 대기업, 공공기관까지 고객층이 다양함.
- 다만, 쿠콘이나 NHN한국사이버결제 등 경쟁사들이 기업용 금융 데이터를 활용한 핀테크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시장 점유율 방어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임.
3. 향후 전망 – 웹케시의 성장 전략과 리스크 분석
(1) 성장 모멘텀
- AI 기반 자금관리 솔루션(AI CFO 스위트) 출시
- AI를 활용한 자금 예측 및 자동화 기능 제공 → 기업의 금융 업무 효율성 극대화
- 기존 CMS 솔루션과의 시너지 기대
- 동남아 시장 공략
- 2025년 베트남·인도네시아 기업 대상 ‘경리나라’ 도입 추진
- 해외 진출 성공 시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가능
(2) 리스크 요인
- 핀테크 규제 및 금융 데이터 보안 이슈
- 금융 당국의 핀테크 기업 규제가 강화될 경우 사업 확장에 제약이 될 가능성 존재
- 금융 데이터 유출 위험 → 고객 신뢰 확보가 중요한 요소
-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의 시장 진입
-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 기업이 B2B 금융 솔루션 시장 진출 가능성
- 글로벌 핀테크 기업(Stripe, Adyen)과의 경쟁도 점차 심화
4. 결론 – 웹케시에 투자할 만한가?
(1) 투자 매력 요인
- B2B 핀테크 시장 내 독보적인 위치 →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 유지
- 고객 락인 효과(기업 고객 특성상 이탈률 낮음) → 꾸준한 매출 확보 가능
- AI 솔루션 도입 및 해외 진출 → 중장기 성장 모멘텀 기대
(2) 고려해야 할 위험 요소
- 핀테크 업계의 빠른 변화 속에서 경쟁사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을지 여부
- 금융 데이터 보안 및 정부 규제 리스크
>>투자 관점에서 웹케시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가진 B2B 핀테크 기업으로, 중장기적으로 AI 솔루션과 해외 진출이 성공한다면 추가적인 주가 상승 가능성이 있음. 미국의 주도 아래 AI와 조금만 관련이 있어도 상승하는 감이 있는 시대임. 다만, 주요 매출원인 경리나라의 업종이 경쟁이 상당히 심화 되었음과 정부의 금융 규제 이슈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영업이익이 꾸준한 성장세가 아닌 횡보를 하고 있고 매출액도 21년*22년 대비 낮아진 700억대를 찍으면서 매력이 많이 반감된게 아닌가 싶음. 그런데 이런 재무의 주식들은 이런 타이밍에 꼭 매출이 커하 찍으면서 주가도 반짝 상승하는 경우가 있어서 지속적으로 실적 모니터링중. 어쨌든 경리나라는 검증된 경제적인 ERP인게 확실한 강점!! 미국에서 중소형 AI관련주들 오르는 국면에 슬쩍 담가보자. 금투랑 투신이 이런 종목 좋아한다
작년 말 시세가 나오고 나서 조정을 받고 횡보중인 모습. 단단하게 9천원대에 공구리치고 올라갈 준비하고있다. 지지라인 9000~9150원 사이오면 분할매수 시작하면 좋을것같음. 시장이 크게 떨굴때는 8700~8900원대에서 비중실으면 어떨까. 두번째 지지선.
- 기업용 핀테크 솔루션 시장 내 1위 기업
- 안정적인 수익 모델 (구독형 SaaS + 금융 플랫폼)
- AI CFO 스위트 출시 & 해외 시장 진출 → 성장 모멘텀 확보
- 리스크: 금융 규제 & 경쟁사 위협
📌 결론: 장기 성장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경쟁 심화 및 금융 규제 리스크를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음.
(본 포스트는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NOWDAY ORIGINAL > 기업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닛(328130) 기업 분석 – AI 의료 영상 분석 선두주자, 성장성과 리스크는? (2) | 2025.03.10 |
---|---|
필옵틱스(161580) 기업 분석 – 유리기판 TGV 공정 기술 강점, AI 반도체 시장 확대 수혜? (1) | 2025.03.08 |
이크레더블(092130) 기업 분석 – 매년상승하는 배당, 확고한 1등 (0) | 2025.03.05 |
포스코DX(022100) 심층 분석 - AI·로봇·스마트팩토리 선도기업의 성장 가능성 (0) | 2025.03.05 |
휴메딕스(Humedix) 기업 분석 및 투자 전망 - 히알루론산 필러에 의료기기까지? (0) | 2025.03.05 |